공지사항
제대혈, 실제로 활용되고 있나
[경향신문]제대혈, 실제로 활용되고 있나
ㆍ보관은행 기술·안전성·임상적용 짚어보기
광우병·조류독감…. 우리의 삶을 위협하는 신종 질병들로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부쩍 증대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발표한 ‘세계보건통계 2008’에 따르면 한국 여성의 평균 출산율은 세계 최저수준인 1.2명(2006년 기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저출산 경향 속에서 자녀 건강에 대한 부모들의 관심은 더욱 각별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백혈병 등 신종 질병 및 난치병에 대비한 가족 제대혈 보관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대혈은 엄마와 아기를 이어주는 탯줄에서 채취된 혈액으로 이 속에는 조혈모세포(혈액 재생세 포)와 간엽줄기세포(관절, 뼈, 근육 등 재생세포)가 풍부해 생명의 보고라 일컫는다. 특히 분만시 단 한 번만 채취할 수 있어 그 활용도와 필요성이 매우 높다.
근래 결혼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고령 임신이 증가한 데다 중금속, 화약약품 등 환경오염과 인스턴트 중심의 식습관 등으로 백혈병을 비롯한 소아암, 재생불량성빈혈, 고셔시병, 류머티즘, 루푸스 등의 각종 난치병 발병률이 높아지고 있다. 이를 치료하고자 할 경우 제대혈 보관을 통한 조혈모세포 이식이 기존의 골수이식 치료보다 쉽고 적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각광 받고 있다.
미국 골수혈액이식협회지에 실린 프랜시스 버터 박사 의 논문에서는 인구통계학적으로 70세까지 조혈모세포를 이식받을 확률이 217분의 1까 지 급증했다고 밝혀 세간의 주목을 받았다.
보관이 잘 되고 있는지는 이식현황을 확인해야 |
무엇보다 제대혈은 불확실한 미래를 준비하는 보험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장기간 안전하게 제대혈을 보관해주는 제대혈은행의 기술력과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다. 그렇다면 제대혈은행을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는 무엇일까. 가장 간단한 답은 보관된 제대혈이 실제로 병원에서 백혈병 등의 치료에 얼마만큼 사용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2000년 삼성서울병원 전문의였던 양윤선 박사를 비롯해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 국내 최고의 병원 전문의들을 주축으로 설립된 메디포스트㈜ 제대혈은행 셀트리 (Celltree™)는 현재 11만건 이상의 제대혈을 보관, 점유율 45%를 유지하고 있다.
대부분의 제대혈 은행들이 보관 기능에 초점이 맞춰진 데 반해 메디포스트㈜ 셀트리는 제대혈 보관과 함께 실제 임상에 많이 적용하고 있다는 점이 다르다. 국내에서 진행된 자가제대혈이식 수술 100% 모두 메디포스트㈜의 셀트리에 보관된 가족제대혈을 이용한 것.
2005년 11월, 재생불량성빈혈인 4세아를 대상으로 한 국내 최초의 자가 제대혈 이식 수술에 이어 2006년 6월에는 신경모세포종에 걸린 4세아의 자가 제대혈 이식 수술 모두 메디포스트㈜ 셀트리에 보관된 아기본인의 제대혈을 이용해 성공적으로 끝났다.
제대혈은 섭씨 마이너스 196도의 질소탱크에 보관하고 이식이 필요한 경우 해동하게 되는데 이때 줄기세포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고도의 생명공학 기술과 첨단 시설이 요구된다. 메디포스트㈜ 셀트리의 경우 제대혈 전체 유핵세포 수득률 97.2%, CD34 검사 조혈모세포 수득률 93.4%, 해동 시 세포 생존도 80.1%로 최고 수준의 보관기술력을 자랑한다.
특히 제대혈 채취에서 이식까지의 전 과정을 체계화하고 제대혈 이식 치료까지의 독창적인 ‘펜타 세이프티 프로세스’를 자체 개발하는 등 품질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국내외 특허권과 지적재산권을 보유할 정도로 제대혈 뱅킹 분야의 핵심 기술인 분리, 보관 관련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 이 회사는 타 업체와 달리 연구개발뿐만 아니라 보관과 냉동의 전 과정에 의학박사, 전문의 등 전문 인력들이 직접 참여, 기술적 관리를 책임지고 있다. 이런 기술력을 인정받아 메디포스트㈜는 서울시립 공여제대혈은행 설립 시 기술자문을 수행했을 정도다.
제대혈 보관은 조혈모세포와 줄기세포를 보관하는 것 |
제대혈은 혈액을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제대혈속의 조혈모세포와 줄기세포를 추출, 보관하는 것이다. 만약 예정대로 상품화가 진행된다면 백혈병, 관절염, 뼈, 심장혈관질환 등 에 유효한 상품으로 큰 파장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현재 개발 중인 세포치료제 중 이 회사의 연골치료제 카티스템™은 상업화에 가장 근접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임상 단계의 줄기세포치료제 중 자가유래 세포치료제가 아닌 기성품으로 개발되고 있는 유일한 제품이어서 더욱 그러하다.
기성품은 불특정 다수의 환자가 사용할 때 규격화된 용량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제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상업성이 큰 것이 장점.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체외 에서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배양하고 분화시키는 기반 기술이 필수적이다.
연골치료제 카 티스템™은 이르면 내년에 상업화가 가능할 전망으로 메디포스트㈜는 줄기세포치료제의 대량 생산을 위한 GMP 공장을 완공하는 등 상용화를 위한 준비를 이미 끝마쳤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식약청으로부터 백혈병보조치료제 ‘프로모스템™’의 상업임상승인을 획 득했으며, 나아가 뇌졸중 치료제 ‘뉴로스템™’, 뼈질환 치료제 ‘본스템™’, 폐질환 치료제 ‘뉴모스템™’, 심근경색 치료제 ‘하트스템™’ 등의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황동진 대표는 “8년 동안 한결같이 가족제대혈 은행과 지속적인 성체줄기세포 개발연구로 국내에서 꾸준히 1위를 차지하게 됐다. 연이어 출시될 줄기세포 치료제 등의 선순환적 구도로 명실상부한 세계적인 바이오 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며 강한 자신감을 보였다.
공지사항 |
셀트리 ‘아는 만큼 보이는 제대혈 이벤트’ 당첨자 공지
2023.04.14
조회 : 753
|
2023.04.14 |
411 |
육아잡지 앙쥬 5월호에서 원조 야구여신 아나운서 '최희'가 고민하고 선택한 출산준비템을 확인해보세요!
2023.05.15
조회 : 77
|
2023.05.15 |
410 |
셀트리 ‘출산준비 로드트립 이벤트’ 당첨자 공지
2022.11.10
조회 : 1450
|
2022.11.10 |
409 |
육아잡지 앙쥬 10월호에서 '신아영 아나운서가 선택한 출산준비 필수템'을 확인해보세요!
2022.10.07
조회 : 908
|
2022.10.07 |
408 |
셀트리 ‘손하트시그널 이벤트’ 당첨자 공지
2022.07.08
조회 : 1541
|
2022.07.08 |
407 |
육아잡지 앙쥬 6월호에서 넷째 출산 '슈퍼맘 정주리'가 선택한 출산준비물을 확인해보세요!
2022.06.10
조회 : 1739
|
2022.06.10 |
406 |
셀트리 투어 재개 안내
2022.06.08
조회 : 1634
|
2022.06.08 |
405 |
셀트리 ‘건강덕담 이벤트’ 당첨자 공지
2022.04.11
조회 : 2292
|
2022.04.11 |
404 |
육아잡지 앙쥬 11월호에서 올림픽 펜싱 금메달리스트 '김준호' 선수의 건강한 출산 준비 스토리를 확인하세요!
2021.11.08
조회 : 2906
|
2021.11.08 |